2023학년도 2학기 아주대학교 교수초빙 공고문(공개채용)
1. 초빙인원(총 15명)
가. 정년트랙 전임교원: 12명
학과 |
초빙분야 |
초빙
인원 |
지원자격 및 기타 필수사항 |
기계공학과 |
미래에너지
Future Energy |
1 |
-
▶ 학위 및 경력
- 공학박사 학위 소지자
-
▶ 최저 연구실적 및 기타 필수사항
- SCI/SCIE 6건 이상
(최근 4년간, 주저자 또는 공저자, 게재 확정 포함)
-
▶ 우대 사항
- 지식재산권, 기술이전 및 연구과제 수행 실적 보유자
-
# 지원자를 위한 학과소개 보기 : For detail [Click]
|
기계공학과 |
학습기반로봇제어
Learning based
robot control
|
1
|
-
▶ 학위 및 경력
- 공학박사 학위 소지자
-
▶ 최저 연구실적 및 기타 필수사항
- SCI/SCIE 4건 이상 (최근 4년간, 주저자 또는 공저자,
게재 확정 포함)
-
▶ 우대 사항
- 기계학습, 로봇공학 관련 교과목 강의 가능자 또는 로봇
관련 연구 경험자
-
# 지원자를 위한 학과소개 보기 : For detail [Click]
|
산업공학과 |
인공지능
(AI 산업응용, 기계학습
알고리즘 최적화 등)
Artificial Intelligence
(AI industry application,
machine learning, etc.) |
1 |
|
응용화학생명
공학과 |
에너지 무기소재
Inorganic Materials for
Energy Area Application
- 페로브스카이트와 양자점 소재 제외 |
1 |
-
▶ 학위 및 경력
- 박사학위 소지자, 학위 후 타 실험실에서 연구경력 1년
필수
-
▶ 최저 연구실적 및 기타 필수사항
- 최근 4년간 주저자로, 분야 상위 10%이내 논문4편이상
(분야 상위 5%이내 1편이상 포함)
-
-
# 지원자를 위한 학과소개 보기 : For detail [Click]
|
환경안전공학과 |
자원순환 및 에너지안전
Resource Circulation
and Energy Safety |
1 |
-
▶ 학위 및 경력
- 초빙 분야 관련 공학 박사학위 소지자
-
▶ 최저 연구실적 및 기타 필수사항
- 최근 3년간(‘20.3.1.~공고일) SCI(E)급 연구 논문 6편
이상, 이중 주저자 혹은 교신저자로 4편 이상인 자
-
▶ 우대사항
- 박사 후 과정 2년 이상 우대
- 최저 연구실적 중 상위 JCR 상위 10% 이상 논문 우대
-
-
# 지원자를 위한 학과소개 보기 : For detail [Click]
|
전자공학과 |
모바일컴퓨팅시스템
Mobile Computing
System |
1 |
-
▶ 학위 및 경력
- 관련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
-
- 최근 4년간 SCI(E)급 4편 이상 (주저자/공저자, 게재확정
포함/연구재단 우수학술대회 발표실적 포함 가능)
-
▶ 우대 사항
- 산업체, 연구소, 강의경력자, 해외 경력자 우대
-
-
# 지원자를 위한 학과소개 보기 : For detail [Click]
|
전자공학과 |
VLSI/SoC 시스템 설계
VLSI/SoC System Design |
1 |
-
▶ 학위 및 경력
- 관련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
-
- 최근 4년간 SCI(E)급 4편 이상 (주저자/공저자, 게재확정
포함, VLSI 분야/연구재단 우수학술대회 발표실적 포함
가능)
-
▶ 우대 사항
- 반도체 설계 관련 산업체, 연구소 경력자 우대
-
-
# 지원자를 위한 학과소개 보기 : For detail [Click]
|
소프트웨어학과 |
인공지능융합/컴퓨터공학
전 분야
AI Convergence/
Computer Engineering |
1 |
-
▶ 학위 및 경력
- 초빙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
-
▶ 최저 연구실적 및 기타 필수사항
- 최근 4년간 2편 이상의 우수 연구실적 보유자
(SCI(E)급 논문 또는 연구재단 우수 국제 학술대회 발표
논문 인정)
-
-
# 지원자를 위한 학과소개 보기 : For detail [Click]
|
디지털미디어학과 |
Computer Graphics,
Immersive Technology |
1 |
-
▶ 학위 및 경력
- 컴퓨터공학 관련 박사학위 소지자 (또는 임용전
박사학위 취득 예정자)
-
▶ 최저 연구실적 및 기타 필수사항
- 초빙분야에서 최근 3년간(‘20.3.1.~공고일) 3편 이상의
SCI/E급 논문 게재 또는 연구재단이 인정하는 국제 우수
학술대회 발표 실적
- 상기 실적 모두 주저자(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)이어야 함
- JCR IF(2-Year) 상위 10%이내 논문 게재 또는 연구재단
공인 IF3이상등급의 우수학술대회 발표 실적 우대
-
-
# 지원자를 위한 학과소개 보기 : For detail [Click]
|
수학과 |
대수/기하
Algebra/Geometry |
1 |
-
▶ 학위 및 경력
- 해당분야 박사학위 소지자
-
▶ 최저 연구실적 및 기타 필수사항
- 최저 연구실적: 1) 또는 2)의 실적
1) 최근 4년간 연평균 SCIE급 논문 실적이 250점 이상
√ 게재승인 논문 포함
√ SCIE급 논문 한편은 300점이며, 저자수가 2이면
210점, n>2이면 450*1/n 점
2) IF 상위 10% 이내의 논문 한 편 또는 IF 상위 20%
이내의 논문 두 편
√ 게재승인 논문 포함
√ 저자수 고려하지 않음, 논문 출간년도와 2021년도 IF
중 유리한 지표를 사용
-
* 추천서 2부 제출 필수(하단 안내 참고)
-
▶ 우대사항
- 대수기하학 전공자 및 박사학위 취득 후 연구 경력이 2년
이상인 지원자에게는 가산점 부여
-
-
# 지원자를 위한 학과소개 보기 : For detail [Click]
|
경제학과 |
응용미시경제학
Applied
Microeconomics |
1 |
-
▶ 학위 및 경력
- 경제학 박사학위 소지자
-
▶ 최저 연구실적 및 기타 필수사항
- 응용미시경제학 분야 전공자
- 최근 4년간(공고일 기준) 주저자(제1저자 또는 교신
저자)로 SSCI 게재논문 1편 또는 재단 등재지 게재
논문 2편 이상
-
▶ 우대사항
- 보건경제학 또는 환경경제학 전공자 우대
-
-
# 지원자를 위한 학과소개 보기 : For detail [Click]
|
심리학과 |
인지 공학 심리학
Cognitive Engineering
and Engineering
Psychology |
1 |
-
▶ 학위 및 경력
- 국내외 대학 인지공학 심리학 전공(또는 유관분야
전공자) 박사학위소지자
-
▶ 최저 연구실적 및 기타 필수사항
- 최근 4년간 SSCI급 논문 1편(주저자 및 교신저자) 혹은
연구재단 등재지(KCI) 3편(주저자 및 교신저자) 이상
게재
-
- 산학협동 과제 추진 실적 및 인지공학 분야 관련 기업체
프로젝트 수행 실적 우수자 우대
-
-
# 지원자를 위한 학과소개 보기 : For detail [Click]
|
나.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: 연구중점교수 1명
학과 |
초빙분야 |
초빙
인원 |
지원자격 |
경영학과 |
경영학 全 분야
Business Administration |
1 |
|
다. 비정년트랙 전임교원: 교육중점교수 2명
학과 |
초빙분야 |
초빙
인원 |
지원자격 |
융합시스템공학 |
융합시스템공학
(스마트생산, 데이터사이언스, AI, 어낼리틱스 등의 응용 및 융합 분야)
Integrative Systems
Engineering
(Integrated Application of Smart Production, Data Science, Artificial Intelligence, and Analytics) |
1 |
-
▶ 학위 및 경력
- 초빙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또는 취득예정자
-
▶ 최저 연구실적 및 기타 필수사항
- 둘 중 하나 만족: 최근 4년간 주저자(제1저자 또는 교신
저자)로서, 관련 분야
● SCI(E)급(CS 분야 우수 국제학술대회 포함) 학술지에
논문1편 이상 게재 혹은,
● 국내학술지(연구재단등재지에 한함)에 논문 3편 이상
게재
-
-
▶ 우대사항
- 교육 경력
- 산업체 경력
-
# 지원자를 위한 학과소개 보기 : For detail [Click]
|
전자공학과 |
통신공학
Communications
Engineering |
1 |
|
2. 지원 자격(하기 요건 모두 충족)
-
가. 사립대학 교원임용에 결격사유가 없는 분
-
나. 접수마감일 기준 해당 전공분야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있는 분
- 공고문에 별도로 박사학위 취득예정자(ABD) 지원가능을 명기한 학과의 경우 본교 임용(2023.9.1) 전까지
박사학위 취득이 가능하여야 함(임용일 전까지 박사학위 미 취득 시 임용 취소)
-
다. 학과(전공)에서 요구하는 자격조건을 충족하신 분
- 경력의 경우 임용일(2023.9.1.) 직전까지의 경력을 포함하여 명기할 수 있으나, 명기된 기간까지 경력을 필수로
이수해야 함
-
라. 정년트랙 전임교원은 영어강의가 가능하신 분 (임용 후 영어강의 의무를 원칙으로 함)
3. 지원자 접수방법 안내
-
가. 공고기간 및 접수기간
- 2023.3.10.(금) ~ 2023.3.30.(목) 낮 12시(한국시간 기준)까지 온라인 지원 접수
* 온라인 지원을 마감일에 임박하여 하실 경우, 예상치 못한 입력 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으니, 가급적 사전에
온라인 지원을 완료해 주시기 바랍니다.
-
-
나. 접수방법 (아래 사항을 모두 시행. ①만 입력할 경우 접수되지 않음)
① 본 대학교 교수채용 POOL SITE에서 등록 후 접수
‧(바로가기) http://faculty.ajou.ac.kr/faculty/pool.jsp
‧ 본 대학교는 교수채용 POOL시스템을 운영 중으로 먼저 교수채용 POOL에 정보를 등록해야 하며 접수기간
내에 온라인 접수를 해야 함(POOL만 등록할 경우 지원이 되지 않음)
② ‘공개초빙 지원서 접수’ 메뉴에서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 및 분야를 선택하여 접수기간 내 최종 지원
③ ‘4.제출서류’ 항목의 서류를 기한 내 이메일로 제출 완료(추천서 필수로 명시된 학과의 경우, 추천서도
기간 내 제출되어야 함)
-
-
다. 교수채용 POOL 작성 시 유의 사항
① 연구실적은 최근 4년 실적만 입력 권장하며 추가 실적의 경우 나-2)에서 안내된 개인 이력서에 기재
② 입력 탭 내 ‘자기소개’ 항목 중 입력 유의 사항
-
- 반드시 타 프로그램(한글 또는 워드 등)을 사용하여 작성 후 붙여넣기로 입력할 것
-
(직접 POOL에 입력 시 글자 제한을 넘기는 경우 등의 사유로 저장되지 않는 경우 발생)
-
③ 사진은 입력 후 사진파일 별도 제출
-
- 사진 업로드에 간혹 오류가 있어 업로드가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있음. 오류 발생 시는 추후 제출 파일로 대체됨
-
-
라. 기타 유의 사항
① 온라인 접수 후 지원서는 별도 출력하여 제출하지 않으며, 연구실적 및 각종 증명서만 접수기간 내에 본교
교원팀으로 이메일 제출(상세내역은 하단의 서류제출 안내 참고)
② Chrome 사용 권장
-
③ 지원마감 시간에 근접하여 작성 시 오류 가능성이 높아 가급적 사전 입력 요망
-
4. 서류제출 안내
-
가. 제출 방법 : 해당 서류를 PDF, JPG 형태(편집 가능한 파일 포맷은 접수하지 않음)로 변환하여
-
이메일(faculty@ajou.ac.kr)로 제출
※ 이메일 제목 형식: [OO학과 성명] 제출서류
-
※ 이메일 첨부 파일명: [OO학과 성명] 제출서류
-
※ 제출서류 파일은 아래와 같이 각각 항목별로 1개의 파일로 만들고, 연구실적만 각각 분류바람.
- 논문이 다수일 경우 3.1 / 3.2 / 3.3 ········ 로 분류.
※ 메일 제출 시 전체파일을 압축하여 1개의 파일을 첨부해야 함(사진파일 첨부 필수)
-

-
-
나. 제출서류
1) 제출서류 목록요약표(1장, 자유양식)를 작성하고 아래 순서대로 파일 번호 설정
2) 개인이력서(자유서식) 및 연구계획서(자유서식) 각 1부
-
※ 이력서 상단에 SCOPUS ID 또는 ORCID ID 기재
3) 공고일 기준 최근 4년간 연구실적물 각 1부 (2019. 3. 1. 이후 연구실적물에 한함)
※ 각 학과별 지원자격은 최저기준이며, 본교는 「교원신규임용규칙」 에 의거 최근 4년간의 연구실적물을 평가함
※ 연구실적은 출간된 것에 한하되 온라인에만 게재된 논문의 경우 DOI(Digital Object Identifier) 넘버가 확인
되면 인정 가능함 / 게재 예정인 논문은 게재예정확인서를 제출하는 경우에 정성점수 가산 가능
※ IF(Impact Factor)를 기재한 연구실적의 경우 증빙자료 제출 필수(ex. 저널 IF 화면 카피 제출 등)
4) 최종학위논문 1부
5) 학위 및 성적증명서 각 1부
6) 경력 및 재직증명서, 자격증(필요 시) 각 1부
7) 추천서 2부 제출 필수인 분야 : 추천서(동일 전공분야 교수 또는 전문가 2인, 자유양식) 2부
※ 추천서는 PDF, JPG 형태(편집 가능한 파일 포맷은 접수하지 않음)로 변환하여 추천인이 이메일
-
(faculty@ajou.ac.kr)로 직접 제출 (이메일 제목에 지원자 성명과 지원학과 명시)
※ 1번의 학과별 지원자격 표에 추천서 제출 필수가 기재되지 않은 학과는 학과 심사단계에서 추천서를 고려
하지 않으므로 제출하지 않아도 됨. 이 경우 학과 심사의 최종 2배수 선정 후보자에 대하여 본부 심사 전까지
추천서 추가 요청 예정
-
-
다. 서류제출기간(추천서 포함)
- 2023.3.30.(목) 낮 12시(한국시간 기준)까지 이메일 접수
※ 위 시각까지 지원서 및 서류 제출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 최종 지원으로 간주되지 않음
-
※ 제출 서류에 대한 수신 여부는 순차적으로 이메일 회신 드림
-
-
라. 유의사항
- 외국어로 된 증빙서류(영어 제외)는 본인의 자필 서명한 번역문을 첨부 하고, 해당기관의 주소, 전화번호, 팩스,
담당자 메일을 번역문 하단에 기재하기 바람
-
- 기타 필요한 서류는 후보자에 한하여 개별 통보함
- 증명서(학위, 성적, 경력, 재직)는 임용확정 시 '원본'을 별도로 제출해야 함
- 불합격자의 서류파일은 최종 합격자가 확정된 이후 2023년 7월 중에 폐기할 예정임
5. 심사절차 및 일정
-
가. 심사절차 : 2차 심사까지의 통과 여부는 각 학과에서 이메일로 연락 예정임
구분 |
절차 |
1차 |
<학과> 기초심사 |
<학과> 전공심사 |
2차 |
<학과> 전공면접심사 및 공개강의 |
3차 |
<본부> 신임교원선발위원회 심사 |
※ 자세한 사항은 본교 홈페이지 학교소개-대학현황-규정에서 「교원신규임용규칙」 참고
-
나. 심사일정
- 1차(기초심사 및 전공심사) 및 2차(전공면접심사 및 공개강의) : 2023.4.3.(월) ~ 2023.5.2.(화) 중 진행 예정
-
<1차 및 2차 심사 기간 중 문의처>
학과 |
문의처 |
기계공학과 |
031-219-2324 |
산업공학과 |
031-219-1953 |
응용화학생명공학과 |
031-219-2385 |
환경안전공학과 |
031-219-1531 |
전자공학과 |
031-219-1740 |
소프트웨어학과 |
031-219-2446 |
디지털미디어학과 |
021-219-1686 |
수학과 |
031-219-2554 |
경제학과 |
031-219-2775 |
심리학과 |
031-219-2775 |
경영학과 |
031-219-3622 |
융합시스템공학과 |
031-219-3888 |
-
-
- 3차(신임교원선발위원회 심사) : 2023.5월 중 진행 예정
- 교원인사위원회 심의 : 2023.5월 말 예정
- 학교법인 대우학원 이사회 : 2023.6월 예정
※ 심사일정은 조정될 수 있으며 진행사항 및 결과는 지원서 상 기재한 개인 e-mail로 연락함
6. 유의사항
-
가. 해당분야 적격자가 없을 경우 선발하지 않을 수 있음
-
나. 공개채용 온라인 지원서 접수시 전공이 2개 분야 이상 부합해도 이중 지원 불가
-
다. 교수채용 POOL에 등록된 정보는 교원 인사자료로 활용되므로 명확히 기재해야 하며, 그 내용이 사실과 다를
경우 임용 이후에도 임용 취소 등 불이익한 처분이 있을 수 있음
-
라. 제출서류의 허위 및 착오기재, 연구실적물 등의 미비로 인한 심사과정에서의 불이익은 지원자 본인의 책임임
-
마. 신체검사와 결격사유조회 및 성범죄경력조회 결과 이상이 있을 경우 임용이 취소될 수 있음
-
바. 본 공고에 명시하지 아니한 사항은 본교 인사 관련 규정 및 지침을 따름
7. 임용일 및 복리후생 등
-
가. 임용일은 2023.2학기(2023.9.1.부) 임용을 원칙으로 함
-
나. 정년트랙 전임교원 조교수로 임용 시 초기 계약기간(4년) 중 책임시수 총 3학점 감면
-
다. 정년트랙 전임교원 조교수 또는 부교수 임용 시 정착 연구비 지급
-
라.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의 최초 임용기간은 2년이며, 재임용 심사 통과 시 재임용 가능함
-
마. 복리후생: 아주대병원 감액혜택, 건강검진 지원, 단체보험가입, 복지카드 지급 등
8. 기타
9. 초빙관련 주요 FAQ: 이외 주요 문의사항은 초빙홈페이지 좌측 FAQ 메뉴 참조
-
Q: 접수증이 안 보이는 경우?
A: 접수증은 필수 제출 서류가 아니며 지원자 스스로 접수가 잘 되었는지 확인하는 자료입니다.
접수증을 출력하여 제출하실 필요는 없으시며, 만약 접수증이 안 보이시면, 초빙학과 및 지원자 성명을 적어
메일로 문의 바랍니다. (메일주소: faculty@ajou.ac.kr)
-
-
Q: 졸업증명서 등 제출서류는 사본제출이 가능한지?
A: 제출가능하나, 임용확정 시 원본 제출 필수
-
-
Q: 지원전공이 유사계열인데 지원이 가능한지?
A: 해당 사항은 심사 시 심사위원회에서 판단 예정(문의 시 답변하지 않음)
-
-
Q: 경력증명서, 졸업증명서 등이 최근 것이 아닌데 제출가능한지?
A: 사본일 경우 향후 원본 제출이 가능하면 제출이 가능하며, 원본일 경우 최근 발급본이 아니어도 가능
-
-
Q: IF가 저널별로 다른데 어떤 것을 기준으로 작성하는지?
A: 저널별 IF 지수가 다를 경우 본인 판단 하에 유리한 것으로 제출
-
-
Q: 연구계획서 또는 자기소개서는 국문/영문 관계없는지?
A: 별도의 제한이 없다면 무관
-
-
Q: 연구계획서 별도 제출본이 온라인 지원서 상 연구계획과 달라도 되는지?
A: 온라인상으로는 1천자 제한 및 그림삽입이 불가하므로, 같은 내용이라면 포맷이 달라도 무관함
-
-
Q: 특정국가에서는 성적증명서를 발급치 않고 학위기(졸업증명서)만 발급하는데 어떻게 하는지?
A: 특수할 경우 학위기(졸업증명서)만 제출해도 무방함
-
-
Q: 연구실적 입력시 ‘주저자(책임 및 교신)’의 의미는?
A: 제1저자이면서 교신저자의 역할을 함께하는 경우를 말함
-
-
Q: 외국대학이 검색되지 않을 경우?
A1: 특정 단어만 입력하며, 입력시 첫글자를 대문자로 하여 검색
(예: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일 경우 ‘Georgia’만 입력 후 검색)
A2: 상기로도 검색이 안될 경우 faculty@ajou.ac.kr로 학교명 영문이름과 국가명을 기재하여 등록요청 메일 발송 바람
-
-
Q: 경력/연구 사항 등 입력시 저장이 안 되는 오류가 발생할 경우?
A: 연구기관명, 직책명 등이 20자가 넘어갈 경우 저장 불가. 이에 각 칸별로 적절히 배분하여 작성
-
-
Q: 연구실적 입력 시 글자 수 제한
A: 시스템에는 약어로 입력하거나 입력 가능한 글자까지 기입하고 개인 CV에 full title 기재
-
-
Q: 자기소개서 등 입력시 저장을 했음에도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는 경우?
-
A: 개인PC와 본교 시스템상 충돌오류로 가장 앞줄에 공백(스페이스바 2회)을 입력 후 작성
-
-
Q: 추천서는 필수인지?
A: 정년트랙 전임교원 초빙분야 중 ‘추천서 제출 필수’로 명시된 초빙분야만 제출함
|